티스토리 뷰
반응형
한여름 전기요금 때문에 스트레스받는 가정이 많을 것이다. 최근에 우리 집도 전기요금만으로 10만 원을 돌파해 아파트 관리비가 40만 원 가까이 나오고 있다.
한여름 에어컨 안 틀 수도 없고 절약하는 방법이 있을까? 전기요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아파트 전기요금 구조
전기요금 = 기본요금 + 전력량요금 + 기후환경요금 +- 연료비조정요금
- 기본요금 :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설비 구축 유지보수 등 비용을 반영한 요금, 설비 용량에 따라 차등이 생김
- (주택용은 예외로 사용량을 기준으로 기본요금 산정) - 많이 쓰면 기본요금도 올라감
- 전력량요금 : 연료비 등 사용량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 반영한 요금, 사용량에 비례
- 기후환경요금 :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사용을 위해 발생하는 비용에 대한 요금
공동주택 전기요금 계약 종류
종합계약
세대별 사용량은 주택용 전력(저압)과 공용 사용량은 일반용 전력(고압)으로 적용받는 것
단일계약
세대별 사용량과 공용 사용량을 모두 주택용 전력(고압)으로 적용받는 것
아파트 전기요금 계산
개별 세대 전기요금은 주택용(고압)이 주택용(저압) 보다 저렴해서 많은 아파트 단지들이 주택용(고압) 요금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세대가 적은 아파트의 경우 종합계약으로 공용부 전기요금을 줄이기 위해 세대별은 주택용(저압), 공용은 일반용 전력(고압)으로 적용하는 경우가 있으니 관리비 명세서를 잘 확인하시길 바란다.
사용량 600kwh 기준으로 계산 (8월 기준)
구분 | 주택용(고압) | 주택용(저압) |
기본요금 |
6,060원
(하계 적용시 S3단계,사용량 450kWh 초과 구간)
|
7,300원
(하계 적용시 S3단계,사용량 450kWh 초과 구간)
|
전력량요금 |
93,945원
(하계 600 kWh)
S2단계: 150kWh x174원 = 26,100원 S3단계: 150kWh x242.3원 = 36,345원 |
14,285원
(하계 600 kWh)
S2단계: 150kWh x214.6원 = 32,190원 S3단계: 150kWh x307.3원 = 46,095원 |
기후환경요금 | 5,400원 5,400원 = 600kWh x 9.00원 |
5,400원
5,400원 = 600kWh x 9.00원
|
연료비조정액 | 3,000원 3,000원 = 600kWh x 5.00원 |
3,000원
3,000원 = 600kWh x 5.00원
|
부가가치세 | 10,841원 부가가치세 = 전기요금 x 10% (원미만반올림) |
12,999원
부가가치세 = 전기요금 x 10% (원미만반올림)
|
전력산업기반기금 | 3,460원 전력산업기반기금 = 전기요금 x 3.2% (10원미만 절사) |
4,150원
전력산업기반기금 = 전기요금 x 3.2% (10원미만 절사)
|
총계 | 122,700원 | 147,130원 |
아파트 전기요금 절약 꿀팁
1. 한전에서는 여름철 전기요금 지원제도를 통해 기존 주택용 누진구간을 1단계를 100 kwh, 2단계 50 kwh로 확대했다.
조금 절약해서 누진구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꿀팁!
2. 여름철 복지할인 한도를 확대해 취약계층 할인액을 2~4천 원 추가해 준다.
해당되시는 분들은 활용하시면 좋겠다.
3. 에너지 캐시백 적극 활용!
예년보다 전기소비를 줄이면 캐시백 지급을 받을 수 있다.(kwh당 최대 100원)
이번 여름도 얼마 남지 않았다. 조금만 잘 견디면 더위가 비켜가지 않을까 생각한다.
모두 더운데 건강 잘 챙기시고 힘내시길 바란다.

반응형